서울=연합뉴스) 국기헌 기자 = 정부가 내년 상반기에 조정할 예정인 파견 근로 허용 업종에 제조업은 제외될 전망이다.
박재완 고용노동부 장관은 취임 100일을 이틀 앞둔 5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노사가 공감할 수 있는 업종부터 파견 근로를 허용할 것이다. 제조업종은 허용 대상에 포함할 생각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제조업의 파견 근로를 허용한다면 노동계의 거센 반발로 후유증이 심각할 것으로 고용부는 우려한다.
박 장관은 "정부가 제조업을 파견 허용 업종 대상으로 정하는 순간에 노동계와의 논의가 전혀 이뤄지지 않을 것이다. 진정성을 가지고 대화하다 보면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상반기 중 노사정위원회에서 논의하고 나서 국회를 상대로 이해를 구하고 설득할 부분이 있으면 하겠다. 한걸음에 목적지에 도달할 수는 없는 만큼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
취임100일 맞는 박재완 고용노동부 장관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인턴기자 = 박재완 고용노동부 장관이 취임 100일을 앞두고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향후 고용노동정책의 과제 등에 대한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0.12.5 sjoonhee@yna.co.kr |
파견 근로를 제조업종으로 확대하면 저임금 노동이 급속히 확산할 것이라며 반발하는 노동계의 우려는 박 장관의 발언으로 상당 부분 불식될 것으로 보인다.
고용부는 내년 상반기에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파견법) 시행령을 고쳐 파견 근로가 허용된 32개 업종 중 특허전문가, 여행안내원, 주차장 관리원 등은 허용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파견 근로 수요가 많고 정규직 대체 가능성이 작았음에도 그동안 금지됐던 제품 및 광고 영업원, 경리사무, 웨이터 등은 허용할 계획이다.
박 장관은 장시간 근로 개선을 위한 획기적인 방안을 마련해 내년부터 노사와 함께 추진한다는 방침도 밝혔다.
영세ㆍ중소기업 근로시간 단축 지원, 교대제 전환 촉진, 근로시간 특례업종 제도 개선, 장시간 근로 개선 노사정 공동 캠페인, 장시간 근로 개선 인프라(통계ㆍ정보) 구축, 근로시간 감독 강화 등이 포함된 종합대책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박 장관은 내년 7월부터 허용될 복수노조를 놓고 노동계 일각에서 제기된 부분 개정 요구는 거부했다.
그는 "복수노조는 선진 노사관계를 구축하려면 피할 수 없는 제도인 만큼 1~2년 시행하고 나서 미세 조정하겠다. 매뉴얼은 내년 초에 내놓겠다"며 '선시행 후 보완'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국노총은 내년 2월 임시국회에 의원입법을 통해 근로자의 노동조합 이중 가입을 제한하는 규정 등이 담긴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 일부 개정안을 제출하기로 한 바 있다.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0-12-21 16:30:31 성명과 논평에서 이동 됨]